티스토리 뷰
목차
1. 부모급여란?
부모급여는 2023년부터 도입된 영유아 양육 지원 정책으로, 0세 및 1세 아동을 키우는 부모에게 월 단위로 지급되는 보편수당입니다.
2024년부터는 지원 금액이 크게 확대되어 0세(0~11개월) 아동 가정에는 월 100만 원, 1세(12~23개월) 아동 가정에는 월 50만 원이 지급됩니다.
2. 부모급여 지원 대상 & 금액



아동 나이(개월) | 부모급여 | 금액비고 |
0~11개월 | 월 100만 원 | 현금 지급 (가정양육) 또는 바우처 + 현금 차액 (어린이집/돌봄 서비스 이용 시) |
12~23개월 | 월 50만 원 | 동일 방식 적용 |
- 총 수령액: 0~23개월 동안 최대 1,800만 원
- 소득 기준 없이 지원 가능, 전 계층 대상
3. 부모급여 신청 방법 & 유의사항
- 신청처:
- 오프라인: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온라인: 복지로 또는 정부24 → “복지서비스 신청 → 부모급여”
- 출생신고와 함께: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활용 가능
- 신청 60일 이내 필수!
- 생후 60일 이내 신청 시: 출생한 달부터 소급 지원
- 지나면: 신청한 달부터 지급 시작
- 지급일: 매월 25일, 주말 또는 공휴일이면 그 전일에 지급
4. 부모급여 2025년 하반기 부모급여 변동
2025년 하반기 부모급여 차액이 왜 변했을까?
보육료 단가 인상 → 부모급여 차액 감소
- 2025년 7월 이용 건부터 정부지원 보육료 단가가 인상되었습니다. 그 결과 영유아 보육료 기준 상향 → 어린이집 이용 시 부모 부담 없이 지원받지만, 부모급여에서 보육료 바우처를 제외한 차액은 감소하게 되었어요.
차액 변경 적용 시점
- 2025년 8월 부모급여 지급부터 차액이 변경 적용됩니다.
- 즉, 7월 어린이집 이용분에 해당하는 부모급여 차액이 8월에 지급될 때 변경된 금액이 반영돼요.
0세·1세 어린이집 이용 시 부모급여 차액 얼마?
아래 표는 2025년 하반기부터 어린이집 이용 시 부모급여 차액 기준입니다.
아동 연령 | 부모급여 | 월액보육료 바우처(기본보육 기준) | 변경 후 부모급여 차액 |
0~11개월 (0세) | 1,000,000원 | 약 433,000원 | 약 433,000원 |
12~23개월 (1세) | 500,000원 | 직접 차액 없음 | 없음 |
- 0세의 경우, 보육료 단가 인상으로 기존 약 460,000원에서 약 433,000원으로 감소했습니다.
- 1세 아동은 보육료 단가 조정이 있었더라도, 부모급여 차액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5. 다른 육아지원 제도와의 비교
- 아동수당:
- 만 0세~7세까지 매월 10만 원
- 부모급여와 중복 지급 가능
- 가정양육수당:
- 2세 이상(24~86개월) 아동 대상
- 부모급여와는 중복 불가
- 육아휴직급여:
- 고용보험 가입자 대상, 통상임금의 일정 비율 지급
- 부모급여는 고용 상태와 무관하게 받을 수 있어 중첩 수령 가능
마무리 요약
이제 “부모급여 월 100만 원” 제도를 명확히 이해하셨죠?
- 0세 아동의 경우 현금 최대 100만 원,
- 1세 아동은 50만 원,
- 출생 후 60일 이내 신청 필수,
- 온라인/오프라인 신청 가능,
- 아동수당·휴직급여와 중복 수령 가능
이 정책이 부모님께 경제적 안정을 제공하며, 아이와의 소중한 시간에 집중할 수 있는 든든한 기반이 되길 바랍니다.
'유용한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먹는 약! 한눈에 서비스(PC·모바일 신청 방법 총정리) (2) | 2025.08.29 |
---|---|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총정리 (1) | 2025.08.28 |
출생신고 준비물 및 온라인 신청 방법 (4) | 2025.08.27 |
청년도전지원사업 신청 방법 및 대상 (4) | 2025.08.25 |
상생페이백 홈페이지 (신청조건 및 신청방법 총정리) (2) | 2025.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