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한눈에 보는 서울청년문화패스 (2025)
서울청년문화패스는
서울에 거주하는 만 20세~23세 청년에게
🎁 1년에 20만원의 문화이용권(체크카드 형식)을 지원하는 정책이에요.
📌 사용할 수 있는 분야는?
- 연극 🎭
- 뮤지컬 🎶
- 클래식 🎻
- 국악/무용/오페라
- 전시 관람 등
※ 전용 홈페이지에서만 예매 가능
※ 예매 1건당 7만원 한도
※ 뮤지컬은 연 1회만 예매 가능!
🧾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자격
- 연령: 20 - 23세(2002 - 2005년생)
- 의무복무 제대군인:
1년 미만 복무 → 24세(2001년생)까지
1~2년 미만 → 25세(2000년생)까지
2~5년 미만 → 26세(1999년생)까지
- 거주: 신청일 기준 서울시 주민등록(또는 외국인등록대장) 주소가 있어야 함. 이사 직후라도 신청일 기준 서울 거주면 신청 가능.
- 소득: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건보료 본인부담금)로 심사. 본인 납부 시 본인 건보료, 피부양자라면 부양자 건보료 기준. (노인장기요양보험 제외)
🗓️ 신청 일정 & 절차 (2025년 2차 기준)
⏰ 신청기간
→ 2025년 8월 7일(목) 10:00 ~ 8월 21일(목) 17:00까지
※ 심사: 8.22 ~ 9.17 (연령·거주·소득 자격 비대면 확인)
※ 선정 발표/지급: 9.18(목) 이후, 마이페이지 공지+문자 안내
📱 어디서 신청하나요?
→ 서울시 청년포털 청년몽땅정보통
→ 메뉴: [교육문화 > 서울청년문화패스]
📢 선정 발표 및 카드 지급일
→ 2025년 9월 18일(목) 예정
→ 마이페이지 또는 문자로 개별 안내
🛍️ 어떻게 사용하나요?
1. 신한은행 체크카드(헤이영)로 발급돼요
→ 비대면으로 계좌 개설 가능
2. 서울청년문화패스 전용 홈페이지에서 공연/전시를 예매할 수 있어요
3. 결제 시, 자동으로 문화패스 포인트가 차감됩니다
💡 사용 제한/룰:
- 예매 건당 7만원 한도, 초과분은 본인 부담
- 뮤지컬은 1회 한정
- 예산 및 이용률에 따라 조기마감 가능
📌자주 묻는 질문(FAQ) 요약
- 문화누리카드(통합문화이용권) 있어도 신청 가능? 가능. 요건 충족 시 둘 다 발급 가능.
- 외국인도 신청 가능? 외국인등록대장 등록 + 소득기준 충족 시 가능.
- 결과는 어디서 확인? 청년몽땅정보통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문자 별도 발송.
- 미사용 시 어떻게 되나요? 연말 자동 소멸. 선정 후 장기간 카드 미발급·미사용 시 자격 취소 가능.
🎭 서울청년문화패스 vs 문화체육관광부 청년문화예술패스 비교표
항 목
|
서울청년 문화패스 | 청년문화 예술패스 |
운영기관 | 서울특별시 | 문화체육관광부 |
지원대상 | 만 20~23세 서울시 거주 청년 (소득기준 있음) | 만 19~29세 전국 청년 (소득기준 없음) |
지원금액 | 연 20만원 | 연 10만원 |
예매처 | 전용 홈페이지(문화패스)에서만 사용 가능 | 인터파크 티켓 등 제휴처에서 바로 할인 적용 |
사용처 | 연극, 뮤지컬, 오페라, 클래식, 무용, 전시 등 | 공연·전시·영화(일부), 도서 등 다양한 문화상품 |
카드발급 여부 | 신한은행 전용 체크카드(헤이영) 필요 | 실물 카드 없음, 온라인 할인코드 방식 |
소득기준 | 중위소득 150% 이하 (신청자 유형별 상이) | 소득 제한 없음! 누구나 신청 가능 |
신청방법 |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 | 문화누리카드 누리집 또는 K문화예술지원 플랫폼 |
둘 다 신청 가능 조건이 된다면,
🎉 두 개 다 신청해서 동시에 활용하는 것도 완전 가능해요! 🙌
2025.07.22 - [유용한 정보 +] -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_ 공연·전시 관람비 지원!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_ 공연·전시 관람비 지원!
✅ 1. 청년문화예술패스란? – 만 19세 청년 전용 문화예술 지원 제도 청년문화예술패스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만 19세 대한민국 청년의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제
happysunday7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