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서울시는 2025년 9월, 새로운 수상 대중교통 ‘한강버스’를 공식 운항하며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단순한 관광뿐 아니라 실제 교통 혼잡 해소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한강버스 노선 및 요금 총정리, 운항 시간, 선착장, 편의시설, 그리고 이용 시 주의사항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1. 한강버스란? (2025년 최신)
- 한강버스 노선 및 요금 총정리를 이해하려면 먼저 한강버스의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 서울시가 교통 혼잡을 줄이고 친환경 이동을 확대하기 위해 도입한 수상 대중교통입니다.
- 기존 유람선과 달리 정기 운항 노선으로 출퇴근·관광 모두 활용 가능하며, 서울교통공사와 티머니가 운영을 맡습니다.
👉 핵심: 한강버스는 관광 + 교통 기능을 결합한 새로운 대중교통 수단입니다.
2. 한강버스 운항 노선 & 선착장
- 한강버스 노선 및 요금 총정리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는 운항 구간입니다.
- 전체 노선: 마곡 → 망원 → 여의도 → 압구정 → 옥수 → 뚝섬 → 잠실 (총 7개 선착장, 약 28.9km)
- 각 선착장은 지하철, 버스, 따릉이와 연계되어 접근성이 뛰어나며,
선착장 편의시설에는 카페, 휴게 공간, 자전거 거치대, 교통약자 배려 시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3. 한강버스 운항 시간
- 정식 개통: 2025년 9월 18일
- 기본 운항 시간: 오전 11시 ~ 오후 9시 30분 (약 1시간 간격)
- 향후 확대 계획:
- 평일 출퇴근 전용 급행 노선 신설 (왕복 30회)
- 연내 선박 12척 확보, 하루 48회 운항 목표
👉 따라서 현재는 관광·여가 중심이지만, 점차 출퇴근 핵심 교통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한강버스 요금제
- 한강버스 기본 요금: 3,000원 (1회)
- 기후동행카드 연동: 5,000원 충전 시 무제한 탑승 가능 + 지하철·버스 환승 할인 적용
- 유의사항: 현금 불가, 교통카드 필수
👉 한강버스 노선 및 요금 총정리에서 확인할 수 있듯, 대중교통 환승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5. 한강버스 선박 & 시설
- 친환경 하이브리드 선박 8척 + 전기 선박 4척
- 내부 편의시설:
- 카페테리아(커피·간단한 간식 판매)
- 휠체어석, 자전거 거치대, 교통약자 배려석
- 야외 전망 공간
👉 친환경 설계와 교통약자 배려 시설은 한강버스의 차별화 포인트입니다.
6. 한강버스 장점과 단점
✅ 장점
- 색다른 출퇴근·관광 수단
- 친환경 설계 (탄소중립 기여)
- 한강 경관과 여가 요소 결합
❌ 단점
- 기상 상황(비·안개·댐 방류 등)에 따라 운항 중단 가능
- 배차 간격이 아직 길어 출퇴근 정시성 부족
- 첫날부터 혼잡·환불 문제 발생
7. 한강버스 이용 팁
- 주말·관광 이용 목적 → 가족·연인에게 강력 추천
- 출퇴근 목적 → 향후 급행노선과 배차 개선 상황 확인 필수
- 기상 예보 확인 후 탑승해야 돌발 운항 중단에 대비 가능
8. 한강버스 FAQ
Q1. 한강버스는 어디서 탈 수 있나요?
→ 마곡, 망원, 여의도, 압구정, 옥수, 뚝섬, 잠실 선착장에서 승하차 가능합니다.
Q2. 한강버스 요금은 환승이 되나요?
→ 네, 기후동행카드 이용 시 무제한 탑승 + 환승 할인 적용됩니다.
Q3. 날씨가 나쁘면 어떻게 되나요?
→ 폭우, 안개, 강 수위 상승 시 운항이 취소될 수 있으니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9. 마무리
2025년 서울의 새로운 교통 실험인 한강버스는 단순한 관광을 넘어 시민들의 일상 교통망을 넓히는 시도입니다.
아직 개선할 점은 있지만, 친환경 교통수단과 관광 자원을 결합한 미래형 대중교통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지금은 체험·여가용으로 적합하며, 앞으로는 출퇴근 핵심 교통수단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